본문 바로가기

사찰36

장흥 보림사 - 사찰 소개, 천관산 자락 철조비로자나불, 템플스테이 보림사📌 주소: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로 864\ 사찰 소개보림사는 통일신라 헌안왕 3년(859년), 선종 고승 보조선사 체징이 창건한 사찰로, 우리나라 남부지역 선종 불교의 중심 도량 중 하나입니다. 창건 당시에는 당나라에서 전해진 선불교 교리를 기반으로 삼아, 선종의 교학과 실천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보림’이라는 이름은 '깨달음을 지키는 숲'이라는 의미로, 그 자체로 수행과 정진의 공간을 상징합니다. 오랜 세월 동안 폐사와 중창을 반복하며 수많은 고승들이 수행한 이곳은 지금도 깊은 산중 고요함 속에서 불교의 정수를 느낄 수 있는 장소로 남아 있습니다. 대표 문화재보림사는 수많은 국보와 보물을 보유하고 있어 문화재 사찰로서도 손꼽힙니다. 대표적으로는 국보 제117호 '보림사.. 2025. 5. 13.
남원 실상사 - 사찰 소개, 지리산 자락, 우리나라 최초 선종 도량, 템플스테이 실상사📌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1 사찰 소개실상사는 우리나라 최초의 선종(禪宗) 사찰로 알려진 유서 깊은 고찰입니다. 통일신라 흥덕왕 2년(827년), 중국 당나라에서 귀국한 홍척국사가 창건하였으며, 이곳에서 선불교의 씨앗이 처음으로 뿌려졌습니다. 이후 실상사는 선문구산 중 하나로 자리 잡으며 한국 선종의 출발점이 되었고,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지속적으로 중창과 복원이 이어지며 명맥을 유지해 왔습니다. 현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로 등록되어 있으며, 남원 지리산 자락의 맑은 물과 숲에 둘러싸인 조용한 산사입니다. 대표 문화재실상사는 다수의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국보 제10호인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백장암은 실상사의 부속 .. 2025. 5. 13.
남해 보리암 - 사찰 소개, 관음기도 명소, 해돋이 명상 산사, 템플스테이 보리암📌주소: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보리암로 665 사찰 소개남해 보리암은 우리나라 3대 기도처 중 하나로, 신라 원효대사가 창건한 해수관음도량입니다. 설화에 따르면 원효대사가 이곳 절벽 위에서 수행하며 관세음보살의 가피를 입었다고 전해집니다. 이후 조선 숙종 때 중건되어 오늘날까지 해수관음신앙의 중심 사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사찰은 남해 금산의 절벽 위에 위치해 있으며, 가파른 산길을 따라 오르면 탁 트인 바다 풍경과 함께 보리암이 펼쳐집니다. '절벽 위 사찰'이라는 별칭처럼, 하늘과 바다 사이에서 기도와 명상이 이뤄지는 특별한 공간입니다. 대표 문화재보리암 경내에는 전통적인 목조건축 양식을 따르는 법당과 관음전, 요사채 등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문화재로 지정된 건물은 없지만, 조선시대 건축.. 2025. 5. 12.
정읍 내장사 - 사찰 소개, 내장산 단풍 명소 산사, 템플스테이 내장사📌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산로 936 사찰 소개내장사는 내장산 국립공원 안 깊숙이 자리한 고찰로, 백제 무왕 37년(632년) 영은조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내장’이란 이름은 산 속에 감춰진 보물이 있다는 뜻을 지니며, 실제로도 내장산의 수려한 자연 속에 조용히 숨겨진 듯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러 여러 차례 중창과 보수가 이뤄졌고, 근대에는 정읍 불교의 중심 사찰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김제 금산사의 말사로, 내장산의 사계절 풍경과 어우러져 전국적인 명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 문화재내장사는 과거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2012년 화재로 대웅전 등 주요 전각이 소실된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후 복원 사업이 진.. 2025. 5. 11.
강진 백련사 - 사찰 소개, 다산 정약용 유배지 산사, 템플스테이 백련사📌주소: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백련사길 145 사찰 소개백련사는 전라남도 강진군 만덕산 자락에 자리한 천년 고찰로,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과의 인연으로도 유명한 사찰입니다. 백제 무왕 8년(607년) 무염국사가 창건한 이후, 고려와 조선을 거쳐 내려오며 선종의 수행 도량으로 이어져 왔습니다. 특히 1810년부터 정약용이 강진 유배 시절 다산초당에 머무르며 혜장선사와 교류하며 학문과 불법을 나눴던 사찰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시기 백련사는 유교와 불교가 만나는 공간으로서 조선 후기 지성의 한 축을 담당했습니다. 대표 문화재백련사에는 보물 제131호인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함께 다양한 불상 및 유물들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대웅보전에는 석가모니불과 함께 문수보살, 보현보살이 모셔져 있으.. 2025. 5. 11.
평창 상원사 - 사찰 소개, 문수보살 기도 도량, 템플스테이 상원사📌주소: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446 사찰 소개상원사는 강원도 오대산 중턱, 해발 약 1,400m 고지에 자리한 고찰로, 한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사찰 중 하나입니다. 신라 성덕왕 6년(707년), 혜공선사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이후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오대산 불교의 중심 사찰로 자리 잡았습니다. 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로서, 특히 문수보살 신앙의 중심지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맑은 계곡물과 울창한 숲이 감싸는 천혜의 환경 속에서, 상원사는 ‘하늘과 가장 가까운 절’이라 불리며, 오랜 세월 동안 수행처로 기능해 왔습니다. 대표 문화재상원사에는 국보 제292호 '동종(銅鐘)'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흔히 ‘상원사 동종’이라 불리는 이 종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범.. 2025. 5. 10.